[BOJ 5430][Gold 5] AC
제한
시간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은 사람 | 정답 비율 |
---|---|---|---|---|---|
1초 | 256MB | 53447 | 11938 | 8284 | 20.161% |
문제
선영이는 주말에 할 일이 없어서 새로운 언어 AC를 만들었다. AC는 정수 배열에 연산을 하기 위해 만든 언어이다. 이 언어에는 두 가지 함수 R(뒤집기)과 D(버리기)가 있다.
함수 R은 배열에 있는 숫자의 순서를 뒤집는 함수이고, D는 첫 번째 숫자를 버리는 함수이다. 배열이 비어있는데 D를 사용한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한다.
함수는 조합해서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를 수행한 다음에 바로 이어서 B를 수행하는 함수이다. 예를 들어, “RDD”는 배열을 뒤집은 다음 처음 두 숫자를 버리는 함수이다.
배열의 초기값과 수행할 함수가 주어졌을 때, 최종 결과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T는 최대 100이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수행할 함수 p가 주어진다. p의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다음 줄에는 배열에 들어있는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0 ≤ n ≤ 100,000)
다음 줄에는 [x1,…,xn]과 같은 형태로 배열에 들어있는 수가 주어진다. (1 ≤ xi ≤ 100)
전체 테스트 케이스에 주어지는 p의 길이의 합과 n의 합은 70만을 넘지 않는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입력으로 주어진 정수 배열에 함수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만약,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error를 출력한다.
풀이
시간제한이 1초였고, 단순히 배열을 뒤집는데 시간복잡도를 고려할 수도 있기때문에 자료구조는 Deque를 사용해였다.
Deque로 리스트를 뒤집는다기보단 커서 방향만 바꿔줌으로써 시간소모를 대폭 줄였다.
asc(오름차순) 이라는 boolean형 변수로 R이 나오면 상태를 바꿔주었다.
그리고 D가 나왔을때 맨 앞 원소를 제거하기때문에, asc가 true일때는 poll(), false일때는 pollLast()로 조건에따라 함수를 다르게 실행한다.
비교적 쉬운문제였지만, 디테일하게 생각해야할 부분이 나중에서야 알게되었다.
공백제거, 빈배열일 경우 그대로출력, Error 출력 조건은 빈배열에 D 명령이 나왔을때만 적용 등 반례를 찾는것에 더 시간을 투자해서 섬세함이 부족했던것 같다.
소스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T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int tese_case = 1 ; tese_case<=T; tese_case++){
char[] cmds = br.readLine().toCharArray();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 line = br.readLine();
String[] nums = line.substring(1,line.length()-1).split(",");
Deque<Integer> dq = new LinkedList<>();
boolean asc = true; // true: 0 부터 시작 , false : 끝부터 시작
boolean flag = false; // error flag
for(int i = 0 ; i < N ; i++) dq.offer(Integer.parseInt(nums[i]));
for(int i = 0 ; i < cmds.length; i++){
if(cmds[i]=='R') asc=!asc;
else{
//비었을 경우 error가 나오게끔 설정
if(dq.isEmpty()){
flag = true;
break;
}
// 방향에 따른 원소제거
if(asc) dq.poll();
else dq.pollLast();
}
}
if(flag) sb.append("error");
else {
int[] result = new int[dq.size()];
int idx = 0;
while (!dq.isEmpty()){
if(asc) result[idx++] = dq.poll();
else result[idx++] = dq.pollLast();
}
//공백제거
sb.append(Arrays.toString(result).replace(" ",""));
}
sb.append("\n");
}
System.out.println(sb);
}
}